상상의힘이 펴낸 여덟 번째 동시집.
풀밭을 걸을 땐
발끝으로 걸어도
뒤꿈치로 걸어도
풀꽃에게 미안해
풀밭을 걸을 땐
내 발이
아기 새 발이면
참 좋겠다
<「풀밭을 걸을 때」, 상상의힘>
섬세한 서정으로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실리기도 한 이화주 시인의 동시다. 아이의 곱고 안쓰러운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. 이처럼 아이의 느낌을 온전히 표현해 냈던 동시인이 이번에는 물음표와 느낌표로 아이들이 세상과 마주치기를 바라는 작가의 마음을 고스란히 온축해 새로운 동시집을 펴냈다.
새 동시집 『나는 생각 중이야』는 말 그대로 생각 중인 어린이를 전면에 내세운다. 그리고 그 생각의 근간에는 마주치는 세상에 대한 경이(!)와 그 경이로운 세상을 향한 물음(?)으로 채워져 있다.
맨 앞에서
빨빨 기어오르는
어린 담쟁이 잎
담 너머엔
뭐가 있지? 뭐가 있지?
제일 큰 ?를
가슴에 품고 있는
제일 쬐끄만 어린잎
<「제일 쬐끄만 어린잎」>
이처럼 어린 담쟁이잎은 비록 아주 작아도 가슴에 큰 물음표를 담고 있다는 시인은 말한다. 우리 아이들 또한 비록 아직은 어려도 그런 만큼 더 큰 물음표를 담고 있기를 소망한다.
‘윤석중 문학상’을 비롯해 무수히 많은 수상이 입증하듯 이화주 시인은 우리 동시단을 대표하는 시인이다. 시인의 동시로 또 한 걸음 동시단은 둘레가 밝고 넓어졌다.
[목차]
시인의 말 ………… 8
1부 쇠똥구리의 질문
쇠똥구리의 질문 | ?가 메뚜기처럼 | 한 살 | 어디다 데려다주지? | 새들 번지점프하나? | 제일 쬐끄만 어린잎 | 질문과 대답 | 난 냇물이 좋아 | 쉿 | 비 오는 날 | 올라가 보실래요 | 열사흘 달 | 뭐가 그리 바쁘니?
2부 책 읽기 싫어하는 아이
코끼리에게 하는 질문 | 리코더 연습 | 껍질들의 꿈 | 꿈나라 | 응 | 책 읽기 싫어하는 아이 | 꽃은 슬퍼지면 어떻게 할까? | 늙어서도 강아지인가? | 좋아하면 | 바보형제 주꾸미 집 | 강아지는 왜 가방을 물고 갔을까? | 봄 날 | 잠 바구니
3부 나는 누구예요?
나를 만나기 위해 | 왜 그냥 두고 날아가나? | 바늘잎으로도 | 여기 기대렴 | 나는 누구예요? | 오래된 숲 | 가슴속 그 깊은 곳에는 | 아이들 마음속에도 | 난 자꾸 웃음이 난다 | 손톱은 짧아지는데 | 글쓰기 시간 | 박씨 하나 줄까요?
4부 생각쟁이 나무
손뼉 쳐도 되나요? | 아기다람쥐의 질문 | 생각쟁이 나무 | 너 사라진거니? | 발 | 반달 | 마애불 | 꿈속에서 | 내 시 읽어줄까? | 어쩌지? | 호랑아, 스마트폰 빌려줄까? | 내기하기 | 신비한 구두약
[출판사 제공 책 소개]
성장을 위한 디딤돌
이화주의 동시는 따뜻하다. 자연과 인정에 깃든 아름다움을 결 고운 시선으로 잡아낸다.
전철 안
졸고 있는 누나
옆자리 아줌마 쪽으로
점점점 기울어지다 바로 앉고
점점점 기울어지다 바로 앉고
‘여기 기대렴.’
소리 없는 말 알아들었나?
마침내 옆자리 아줌마
어깨에 기대어 자고 있다.
<「여기 기대렴」>
이 짧은 동시에도 시인의 마음은 잔잔하게 담겨 있다. ‘여기 기대렴.’하고 가만히 어깨를 내밀어주는 아주머니, ‘그 말을 알아들었나?’ 의아해 하는 어린 화자 역시 그 몸짓의 의미를 이미 알아낸 다음인지라 오가는 마음의 결이 잘 새겨져 있다. 그리고 그 마음의 결이야말로 결코 팽개칠 수 없는 성장의 디딤돌이다.
아이가 살아 있는 물음표의 세계
이화주의 동시는 넉넉한 공감이 바탕에 깔려 있다. 이는 대상에 깊이 천착한 시인만이 지닐 수 있는 공감이다.
누굴까?
‘바위 속에 있는 나를 꺼내줄래?’
부처님 말씀 알아들은 그 소년
매미처럼 바위에 붙어
쪼고 다듬으며
부처님 꺼내느라
아마 할아버지 되었겠지.
<「마애불」>
아이는 질문한다. ‘누가 바위 속에서 부처님을 꺼냈을까?’라고. 그리고 상상을 잇고 이어, 이제 그 소년은 할아버지가 되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. 그저 담백한 시인 듯하지만 시인의 성찰 속에는 소박한 아이의 질문이 새겨져 있다.
마음을 드러내는 느낌표의 세계
이화주의 동시는 새로운 발견과 마음의 감탄이 잘 드러나 있다.
소나무 아래서
하늘을 본다.
향긋한 솔잎 초록 우산
와, 바늘잎으로도 하늘을 가릴 수 있구나.
<「바늘잎으로도」>
아이는 솔밭에서 하늘을 본다. 그러나 하늘은 보이지 않는다. 그 가느다란 바늘 같은 솔잎이라도 모이고 모여 하늘을 가린다. 그것이 시인에게는 발견의 놀라움이다. 무릇 동시는 이 새로움을 어린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장르이다.
이화주 시인의 신작 『나는 생각 중이야』는 새로운 발견으로 가득 찬 동시집이다.
'출간 도서 > 출간도서2-동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숲속 나무 학교> (6) | 2024.10.16 |
---|---|
<토끼 두 마리가 아침을 먹는다> 이화주 동시/김용철 그림 (0) | 2023.09.20 |
짜장면이 오면 - 상상의힘 동시집 7 (0) | 2020.01.17 |
호랑이는 내가 맛있대 - 상상의힘 동시집4 (0) | 2020.01.17 |
내 별 잘 있나요 - 상상의힘 동시집3 (0) | 2020.01.17 |